오늘은 테무의 관세 기준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사실 테무뿐만 아니라 어떤 해외직구를 하더라도 관세 및 부가세 적용 기준은 똑같기 때문에 참고시면 좋을 것 같고 해외직구가 늘어나는 만큼 반드시 알고 있어야 하는 부분입니다. 사실은 관세 부가세를 합쳐서 관부가세라고 표현하는데 오늘은 편의상 관세라고 표현해 볼게요.
자동목차
테무 관부가세 기준 150달러
간단하게 150달러만 기억해주시면 됩니다.
해외직구 금액 | 관세 | 부가세 |
$150 이하 | 면제 | 면제 |
$150 초과 | 해외직구 금액 * 관세율 (구입 품목에 따라 다름) |
(해외직구금액 + 관세) X 10% |
우리가 쇼핑몰을 통해서 직구 상품을 구입하지만 엄연하게 이야기하자면 이는 수입 행위에 해당하는 거예요. 어떤 제품을 수입하게 되면 관세법에 따라 수입 신고를 해야 하며 배송비를 포함한 총금액이 150달러 이하인 경우에는 관세가 발생하지 않지만 150달러 이상인 경우에는 관세가 발생합니다. 여기서 중요하게 생각해야 할 것은 배송비를 포함한 총 금액이에요!
단, 관세는 구매한 제품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며 배송비를 포함한 금액이 150달러입니다. 물론 테무에서는 고가의 상품들은 배송비가 무료이지만 어쨌든 배송비 포함 150달러 이상이면 관세를 내야 한다! 이것만 기억해 주세요.
관부가세 기준 산정일
그렇다면 상품을 따로 주문하면 관세를 피할 수 있는게 아닐까 생각이 들 텐데요. 예를 들어서 40달러 인형, 20달러 가방, 100달러 태블릿을 주문했다고 가정해 봅시다. 총금액은 160달러이지만 각각의 금액은 150달러 미만이므로 관세를 피해 갈 수 있다고 생각할지 모르겠지만 따로 배송되더라도 최종 합산이 되어 관세가 부가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테무에서 주문한 날짜만 다르다면 관부가세 기준이 합산되지 않습니다. 150불이 넘는 금액으로 주문을 해야한다면 주문날짜를 다르게 해서 구매해 보세요. 그렇다면 관부가세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적용환율 주의하기
하지만 우리는 테무에서 물건을 구매할 때 원화(KRW)로 결제를 하는데, 어떻게 150달러를 원화로 변환할 수 있을까요? 앞서 간단하게 설명드렸지만 관세는 결국 통관의 문제이고 환율은 통관할 때의 환율을 적용하게 됩니다.
환율이 일주일 사이에 엄청나게 차이가 나지는 않지만 구매시점 대비 통관시점에 환율이 급등해버리게 되면 의도치 않게 관세를 내야 할 수도 있어요. 그렇기 때문에 너무 구매날짜에 딱 맞추어 주문하지 말고 조금은 150달러와 넉넉하게 여유를 두고 주문해 보세요.
그게 아니라면 배송지를 미국으로 바꾸어 대략적인 달러 금액을 확인해 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관부가세 계산하기
가장 간단한 방법은 네이버나 관세청 계산기를 이용해보세요. 관세와 부가세는 품목마다 다르므로 계산기를 사용하는 게 가장 정확합니다.
관세청 해외직구물품 예상세액 조회시스템 👈
구분 | 관세 | 부가세 |
휴대폰 | 0% | 10% |
노트북/PC | 0% | 10% |
책 | 0% | 10% |
화장품 | 6.5% | 10% |
낚시용품 | 8% | 10% |
애완용품 | 8% | 10% |
스피커 | 8% | 10% |
가전기기 | 8% | 10% |
의류 | 13% | 10% |
관부가세 납부방법
구매한 제품이 국내에 도착하여 고가의 제품으로 인식되고 통관 절차에 들어가면 관세 및 부가세를 납부하라는 문자 혹은 카카오톡을 받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카드로 납부를 해도 되고, 계좌이체를 통해 납부를 하면 되는데 카드 납부 방법은 링크를 통해 알려주기도 하지만 간단하게 설명드리겠습니다.
본인이 주로 거래하는 은행앱에 접속해보세요. 은행 앱에서 공과금 메뉴를 검색해 보면 납부해야 될 관부가세가 자동적으로 보이게 됩니다. 그러면 공과금을 선택하고 납 무하면 완료됩니다. 하지만 이 방법은 계좌이체 형식으로만 가능합니다.
혹시 카드로 납부하고 싶다면, 인터넷지로나 문자(혹은 카카오톡)로 통보 받은 카드로텍스를 통해 납부하면 됩니다. 하지만 신용카드로 납부하게 되면 또 0.8%의 수수료 체크카드는 0.5%의 수수료가 발생한다는 점 참고하세요.
해외직구 관부가세 납부 주의사항
오늘은 관세 테무에서 직구한 상품에 대한 관세 및 부가세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해외에서 위스키를 구매하면 세율이 무려 72%를 달하기도 하기 때문에 늘 해외에서의 주문은 조심하는게 좋아요. 물론 테무에서는 위스키나 주류는 구매할 수 없지만 그래도 관련된 관부가세 적용방법을 미리 알면 충분히 도움이 될 것 같네요.